크게 작게 인쇄

[아]암중모색(暗中摸索)

의미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확실한 방법을 몰라 어림짐작으로 찾는다


음과 한자 
暗:어두울 암. 中:가운데 중. 摸:더듬을 모. 索:찾을 색


유래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女帝)였던 측천무후(則天武后:690∼705) 때 허경종(許敬宗)이란 학자가 있었다. 

그는 문장의 명수였다. 집안은 남조(南朝)에 벼슬살이를 하였으며 성격은 경망한데다가 방금 만났던 사람조차 기억하지 못할 적도로 건망증이 심했다. 어느 날, 친구가 허경종의 건망증을 비웃었다. 
"자네는 학문이 뛰어난데도 사람의 얼굴을 쉬이 잊어버리니 그제 알 수 없단 말일세. 혹시 알고도 모른 체 하려고 그러는 것이 아닌가?" 
그러자 허경종이 말했다. 
"자네 같은 이름 없는 사람의 얼굴이야 기억할 수 없지만 조식(曹植)이나 사령운(謝靈運) 같은 문장의 대가들은 어둠 속에서 물건을 찾듯(暗中摸索) 기억을 할 수 있다네." 

암중모색이란, 어둠 속을 더듬어 상대를 찾는다는 뜻이지만 지금은 상대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조사하는 것을 뜻한다. 

[주] 조식 : 조조(曹操)의 셋째 아들. 뛰어난 시재(詩才)를 시기하는 형 문제[文帝:후한을 멸하고 위(魏)나라를 세운 조비(曹丕), 220∼226]의 명을 받고 지은〈칠보시(七步詩)〉는 특히 유명함. 

사령운 : 남북조 시대 남송(南宋)의 시인. 별명 사강락(謝康樂). 여러 벼슬을 지냈으나 치적(治積)을 쌓지 못하자 그의 글재주를 아끼는 문제(文帝:424∼453)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사임. 이후 막대한 유산으로 연일 수백 명의 문인(文人)들과 더불어 산야(山野)에서 호유(豪遊)하다가 반역죄에 몰려 처형됨. 서정(抒情)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문화 사상에 산수시(山水詩)의 길을 열어 놓음에 따라 '산수 시인'이라 불리기도 함.《산수시》《산거적(山居賊)》 등의 시집을 남김.(385∼433). 

[출전]《隋唐佳話(수당가화)》 
코멘트 0
자동등록방지 코드
고사성어 | 전체게시물 517
안내

포인트안내닫기

  • 글읽기0
  • 글쓰기10
  • 댓글쓰기5
  • 다운로드0
고사성어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1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200
51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124
51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988
51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988
51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01
51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83
51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66
51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101
50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52
50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22
50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997
50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109
50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909
50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979
50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69
50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26
50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737
50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859
49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956
49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3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