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작게 인쇄

[사]송양지인(宋襄之仁)

의미 
송나라 양공(襄公)의 인정이란 뜻. 곧 ① 쓸데없이 인정을 베푸는 것의 비유


음과 한자 
宋:송나라 송. 襄:도울 양. 之:갈 지(…의). 仁:어질 인


유래 
춘추 시대인 주(周)나라 양왕(襄王) 2년(B.C.650), 송(宋)나라 환공(桓公)이 세상을 떠났다. 환공이 병석에 있을 때 태자인 자부(玆父)는 인덕(仁德)이 있는 서형(庶兄) 목이(目夷)에게 태자의 자리를 양보하려 했으나 목이는 굳이 사양했다. 그래서 자부가 위(位)에 올라 양공이라 일컫고 목이를 재상에 임명했다. 

그로부터 7년 후(B.C.643), 춘추의 첫 패자(覇者)인 제(齊)나라 환공(桓公)이 죽고, 송나라에는 운석(隕石)이 떨어졌다. 이는 패자가 될 징조라며 양공은 야망을 품기 시작했다. 그는 우선 여섯 공자간에 후계 다툼이 치열한 제나라로 쳐들어가 공자 소(昭:孝公)를 세워 추종 세력을 만들었다. 이어 4년 후에는 송 제 초(楚) 세 나라의 맹주(盟主)가 되었다. 목이는 '작은 나라가 패권을 다투는 것은 화근'이라며 걱정했다. 

이듬해 여름, 양공은 자기를 무시하고 초나라와 통교(通交)한 정(鄭)나라를 쳤다. 그러자 그 해 가을, 초나라는 정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대군을 파병했다. 양공은 초나라 군사를 홍수(泓水:하남성 내)에서 맞아 싸우기로 했으나 전군이 강을 다 건너왔는데도 공격을 하지 않았다. 목이가 참다못해 진언했다. 

"적은 많고 아군은 적사오니 적이 전열(戰列)을 가다듬기 전에 쳐야 하옵니다." 
그러나 양공은 듣지 않았다. 
"군자는 어떤 경우든 남의 약점을 노리는 비겁한 짓은 하지 않는 법이오." 

양공은 초나라 군사가 전열을 가다듬은 다음에야 공격 명령을 내렸다. 그 결과 열세(劣勢)한 송나라 군사는 참패했다. 그리고 양공 자신도 허벅다리에 부상을 입은 것이 악화하는 바람에 결국 이듬해 죽고 말았다. 

[출전]《十八史略》《春秋左氏傳》 
코멘트 0
자동등록방지 코드
고사성어 | 전체게시물 49
안내

포인트안내닫기

  • 글읽기0
  • 글쓰기10
  • 댓글쓰기5
  • 다운로드0
고사성어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67
4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15
4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68
4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35
4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57
4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75
4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57
4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606
4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072
4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73
3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32
3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30
3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14
3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68
3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93
3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5
3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08
3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23
3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58
30 텍스트
[사]송양지인(宋襄之仁)
슈퍼맨 관리자 07-08 2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