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한 여인. 곧 홀몸이 된 여인을 말함. 이 말은 상대가 그렇게 부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남편을 따라 죽어야 하는데 아직도 살아 있다는 것을 겸손한 마음으로 말하는 것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한 여인. 곧 홀몸이 된 여인을 말함. 이 말은 상대가 그렇게 부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남편을 따라 죽어야 하는데 아직도 살아 있다는 것을 겸손한 마음으로 말하는 것
음과 한자
未:아닐 미. 亡:죽을 망. 人:사람 인
未:아닐 미. 亡:죽을 망. 人:사람 인
유래
춘추시대 노나라에서는 성공(成公)이 보위에 올라 다스리고 있었다. 왕 9년에 노나라의 백희(伯嬉)가 송공(宋公)에게 출가하게 되어 계문자(季文子)가 호위하여 따라갔다. 임무를 무사히 마친 계문자가 돌아오자 成公은 잔치를 성대하게 열어 주었다. 그 자리에서 계문자는 《詩經》의 내용을 빌어 주군인 成公과 宋公을 칭송하고 송나라는 좋은 곳이므로 백희 공주가 편히 지내실 것이라고 했다. 이를 본 공주의 모친 목강(穆姜)은 크게 기뻐했다.
"참으로 고맙소이다. 계문자는 선군(先君) 때부터 충성을 다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망인(未亡人)인 내게까지 힘을 주시니 정말 고맙소이다."
그리고나서는 《시경》의 녹의 마지막 장에 정이 담뿍 담긴 목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春秋左氏傳》<成公條>에 나와 있는 미망인(未亡人)은 우리가 알고 있는 뜻과 상반된 의미가 짙다. 예전에는 남편이 죽으면 아내를 비롯하여 그 첩실까지 함께 묻히는 풍습이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미망인은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한 여인을 의미한다. 즉 아내 스스로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하고 살아 있음을 겸손해 하는 말이다.
요즘에는 남편을 잃은 여인을 다른 사람이 미망인이라 한다. 예전의 상식에 비춰 보면 아주 잘못된 일이다. 언제부터 사용되어 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바로 잡아야 할 말이다.
[출전]《春秋左氏傳》<成公條>
춘추시대 노나라에서는 성공(成公)이 보위에 올라 다스리고 있었다. 왕 9년에 노나라의 백희(伯嬉)가 송공(宋公)에게 출가하게 되어 계문자(季文子)가 호위하여 따라갔다. 임무를 무사히 마친 계문자가 돌아오자 成公은 잔치를 성대하게 열어 주었다. 그 자리에서 계문자는 《詩經》의 내용을 빌어 주군인 成公과 宋公을 칭송하고 송나라는 좋은 곳이므로 백희 공주가 편히 지내실 것이라고 했다. 이를 본 공주의 모친 목강(穆姜)은 크게 기뻐했다.
"참으로 고맙소이다. 계문자는 선군(先君) 때부터 충성을 다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망인(未亡人)인 내게까지 힘을 주시니 정말 고맙소이다."
그리고나서는 《시경》의 녹의 마지막 장에 정이 담뿍 담긴 목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春秋左氏傳》<成公條>에 나와 있는 미망인(未亡人)은 우리가 알고 있는 뜻과 상반된 의미가 짙다. 예전에는 남편이 죽으면 아내를 비롯하여 그 첩실까지 함께 묻히는 풍습이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미망인은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한 여인을 의미한다. 즉 아내 스스로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하고 살아 있음을 겸손해 하는 말이다.
요즘에는 남편을 잃은 여인을 다른 사람이 미망인이라 한다. 예전의 상식에 비춰 보면 아주 잘못된 일이다. 언제부터 사용되어 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바로 잡아야 할 말이다.
[출전]《春秋左氏傳》<成公條>
코멘트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