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작게 인쇄

[마]무용지용(無用之用)

의미 
쓸모가 없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여진다는 말


음과 한자 
無:없을 무, 用:쓸 용, 之:어조사 지, 쓸 용


유래 
《莊子》 <人間世篇>에 楚의 은사(隱士) 광접여(狂接輿)가 孔子에 대해 評하면서, "산 속의 나무는 有用하기에 벌채(伐採)되어 자신의 원수가 되고, 기름은 밝은 빛을 내기에 태워져 자신을 태우며, 육계(肉桂)는 사료가 되고 옻은 도료(塗料)가 되기에 베어진다. 有用의 用만 알고, 無用의 用은 알려고 하지 않으니 서글픈 일이다고 하였다. 이 말은 孔子가 인의(仁義)로써 난세를 다스리려는 것을 풍자(諷刺)한 것으로, 조그만 有用은 오히려 자신을 망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莊子가 말하였다. "땅이란 사람이 서있기 위하여 발을 들여 놓을 정도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딛고 있는 땅을 제외한 나머지를 나락(奈落-지옥)까지 팠다고 해보자. 그래도 발 밑 땅만이 有用하다고 하겠는가?" 

弟子가 여행을 하다가 가지가 울창한 큰 상수리나무를 보았다. 나뭇꾼이 손도 되지 않았다. 이유를 물으니 莊子가 답했다. 

"이 나무는 아무 쓸모가 없었기에 천수(天壽)를 다할 수 있었던 게지." 
"선생님은 有用한 것과 無用한 것 중 어느 쪽을 택하시렵니까?" 

"有用, 無用의 中間이라 할까? 道의 세계는 칭찬도 욕도 먹지 않고 순응하여 다투지 않고 사는 것, 物을 통제하더라도 物에 제어되지 않는 것, 그러면 아무 누도 끼치지 않을 것이다." 

장자는 모두가 자연 그대로의 있는 것이 최고의 상태라고 생각했다. 약삭빠른 지혜를 작용시키는 것보다, 이 상수리나무처럼 쓸모가 없다는 것으로서 자연의 수명을 다한다. 그것이 곧 진짜 쓰임이라는 것이다. 

[출전]《莊子》<人間世篇> 
코멘트 0
자동등록방지 코드
고사성어 | 전체게시물 44
안내

포인트안내닫기

  • 글읽기0
  • 글쓰기10
  • 댓글쓰기5
  • 다운로드0
고사성어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68
4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78
4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18
4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35
4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3
3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27
3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023
3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09
3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083
3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76
3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58
33 텍스트
[마]무용지용(無用之用)
슈퍼맨 관리자 07-08 2154
3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95
3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8
3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9
2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63
2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01
2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4
2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07
2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