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작게 인쇄

[아]일거양득(一擧兩得)

의미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거둔다는 뜻


음과 한자 
一:한 일. 擧:들 거. 兩:두 량. 得:얻을 득


유래 
진(秦)나라 혜문왕(惠文王) 때(B.C.317)의 일이다. 중신 사마조(司馬錯)은 어전에서 '중원으로의 진출이야말로 조명시리(朝名市利)에 부합하는 패업( 業)'이라며 중원으로의 출병을 주장하는 재상 장의(張儀)와는 달리 혜문왕에게 이렇게 진언했다. 

"신이 듣기로는 부국을 원하는 군주는 먼저 국토를 넓히는데 힘써야 하고, 강병(强兵)을 원하는 군주는 먼저 백성의 부(富)에 힘써야 하며, 패자(覇者)가 되기를 원하는 군주는 먼저 덕을 쌓는데 힘써야 한다고 하옵니다. 이 세 가지 요건이 갖춰지면 패업은 자연히 이루어 지는 법이옵니다. 하오나, 지금 진나라는 국토도 협소하고 백성들은 빈곤하옵니다. 그래서 이 두 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려면 먼저 막강한 진나라의 군사로 촉(蜀) 땅의 오랑캐를 정벌하는 길밖에 달리 좋은 방법이 없는 줄로 아옵니다. 그러면 국토는 넓어지고 백성들의 재물은 쌓일 것이옵니다. 이야말로 '일거양득'이 아니고 무엇이오니까? 

그러나 지금 천하를 호령하기 위해 천하의 종실(宗室)인 주(周)나라와 동맹을 맺고 있는 한(韓)나라를 침범하면, 한나라는 제(齊)나라와 조(趙)나라를 통해서 초(楚)나라와 위(魏)나라에 구원을 청할 게 분명하오며, 더욱이 주나라의 구정(九鼎)은 초나라로 옮겨질 것이옵니다. 그땐 진나라가 공연히 천자를 위협한다는 악명(惡名)만 얻을 뿐이옵니다." 

혜문왕은 사마조의 진언에 따라 촉 땅의 오랑캐를 정벌하고 국토를 넓혔다. 

[주] 구정 : 우왕(禹王) 때에 당시 전 중국 대륙인 아홉 고을[九州]에서 바친 금(金, 일설에는 구리)으로 만든 솔. 하(夏) 은(殷) 이래 천자(天子)에게 전해 오는 상징적 보물이었으나 주왕조(周王朝) 때에 없어졌다고 함. 

[출전]《春秋後語》《戰國策》 
코멘트 0
자동등록방지 코드
고사성어 | 전체게시물 517
안내

포인트안내닫기

  • 글읽기0
  • 글쓰기10
  • 댓글쓰기5
  • 다운로드0
고사성어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86
35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00
35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37
35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63
35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84
352 텍스트
[아]일거양득(一擧兩得)
슈퍼맨 관리자 07-08 2441
35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70
35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97
34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76
34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06
34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81
34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22
34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3
34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95
34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29
34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45
34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11
34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68
33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43
33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