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작게 인쇄

[자]중과부적(衆寡不敵)

의미 
적은 수효가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음과 한자 
衆:무리 중. 寡:적을 과. 不:아니 불. 敵:대적할 적(원수. 적수 적)


유래 
전국 시대, 제국을 순방하며 왕도론(王道論)을 역설하던 맹자가 제(齊)나라 선왕(宣王)에게 말했다. 

"전하 스스로는 방일(放逸)한 생활을 하시면서 나라를 강하게 만들고 천하의 패권(覇權)을 잡으려 드시는 것은 그야말로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같사옵니다." 

"아니, 과인의 행동이 그토록 터무니 없고 심하다는  말이오?" 
"심한 정도가 아닙니다.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잡으려 한다면 비록 물고기는 얻지 못하더라도 뒤따르는 재앙은 없습니다. 그러나 전하의 정책은 실패하면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입니다." 

"어째서 그렇다는 것입니까?" 

"가령, 지금 소국인 추(鄒)나라와 대국인 초(楚)나라가 싸운다면 어느 쪽이 이기겠나이까?" 
"그야, 물론 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그렇다면 소국은 결코 대국을 이길 수 없고 '소수는 다수를 대적하지 못하며[衆寡不敵]' 약자는 강자에게 패하기 마련이옵니다. 지금 천하에는 1000리(里) 사방(四方)의 나라가 아홉 개 있사온데  제나라도 그 중 하나이옵니다. 한 나라가 여덟 나라를 굴복시키려 하는 것은 결코 소국인 초나라가 대국인 초나라를 이기려 하는 것과 같지 않사옵니까?"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선왕의 물음에 맹자는 지론인 왕도론을 설파했다. 

"전하께서는 그 근본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제 정치를 쇄신하고 인정(仁政)을 베푸시면 천하는 저절로 전하의 것이 됩니다. 왕도로써 백성을 열복(悅服)시킨다면 그들은 모두 전하의 덕에 기꺼이 굴복할 것이오며 또한 천하는 전하의 뜻에 따라 움직이게 될 것이옵니다…‥." 

[출전]《孟子》〈梁惠王篇〉 
코멘트 0
자동등록방지 코드
고사성어 | 전체게시물 517
안내

포인트안내닫기

  • 글읽기0
  • 글쓰기10
  • 댓글쓰기5
  • 다운로드0
고사성어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1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70
41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49
41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67
41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62
41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46
41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657
41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48
41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48
40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85
40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612
40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605
40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51
40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95
40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97
40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69
40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37
40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56
40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515
39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494
398 텍스트
[자]중과부적(衆寡不敵)
슈퍼맨 관리자 07-08 2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