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작게 인쇄

[아]양호유환(養虎遺患)

의미 
호랑이 새끼를 기르면 결국 사나운 맹호가 되고 말듯이, 화근을 키워서 후에 화를 입게 됨을 비유


음과 한자 
養:기를 양. 虎:호랑이 호. 遺:남길 유. 患:근심 환


유래 
진(陣)나라 말기에 천하를 둘로 나누어 한(漢)의 유방과 초(楚)의 항우가 서로 다투었다. '홍문(鴻門)의 회(會)'에서 아슬아슬하게 목숨을 건진 유방은 다시 일어설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그러던 중 항우가 초나라의 의제(義帝)를 시역했다는 말을 듣자 그를 위해 상복을 입고 역적을 주벌한다는 명목으로 항우 정토를 위한 군사를 일으켰다. 싸움은 한동안 항우측이 우세했으나 차츰 형세가 역전되어 유방측이 유리해졌다. 유방은 이때를 적당한 시기라고 보고 전에 사로 잡힌 부친 태공(太公)과 부인 여씨(呂氏:뒤의 여태후)를 돌려보내 달라고 했다. 
항우는 천하를 양분하여 홍구로부터 그 서쪽을 한의 영토로, 동쪽을 초의 영토로 한다는 조약을 맺고 태공과 여씨를 풀어 주었다. 강화를 맺은 항우는 약속대로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돌아갔다. 유방도 서쪽으로 철수하려고 하자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이 유방을 설득했다. 

"한은 이제 막 천하의 태반을 소유하고, 제후와 인심이 모두 편들고 있습니다. 그와는 반대로 초의 군병은 지쳤고 식량도 모자라며 민심도 이반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를 멸망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고 천하를 탈취해야만 합니다. 지금 항왕(項王)을 동쪽으로 돌아가데 하는 것은 호랑이를 길러 화근을 남기는 것(養虎遺患)이 됩니다." 

유방도 이 말에 수긍하고 즉시 항우를 추격했다. 항우는 유방이 조약을 파기한 데 대해 분노했지만, 우세한 한군에 밀려 남하했다. 마침내 항우는 해하에서 사면초가(四面楚歌)가 되고 오강에서 권토중래(捲土重來)하지 못하고 그만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출전]《史記》<項羽本紀> 
코멘트 0
자동등록방지 코드
고사성어 | 전체게시물 517
안내

포인트안내닫기

  • 글읽기0
  • 글쓰기10
  • 댓글쓰기5
  • 다운로드0
고사성어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7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67
31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32
31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93
31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3
31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69
31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51
31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21
31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03
30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39
30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67
307 텍스트
[아]양호유환(養虎遺患)
슈퍼맨 관리자 07-08 2252
306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79
305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82
304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28
303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38
302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53
301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337
300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41
299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143
298 텍스트 슈퍼맨 관리자 07-08 2251